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activity:public:reference:linux:ubuntu-install [2023/05/10 19:00:37] – 제거됨 - 바깥 편집 (Unknown date) 127.0.0.1 | activity:public:reference:linux:ubuntu-install [2023/05/10 19:00:39] (현재) – ↷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noelbait02 | 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+ | ======Ubuntu 설치====== | ||
+ | |||
+ | =====0. 설치 빠르게 따라하기===== | ||
+ | ====0.1. 이미 Windows를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서 Ubuntu를 나란히(동시에) 설치==== | ||
+ | 기존 사용하고 있는 Windows가 디스크에서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일부 줄여 그 남는 공간에 Ubuntu를 설치한다. | ||
+ | {{youtube> | ||
+ | |||
+ | =====1. 설치 준비===== | ||
+ | |||
+ | ====1.1. 다운로드====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^ 종류 ^ 용도 ^ | ||
+ | | [[https:// | ||
+ | | [[http:// | ||
+ | |||
+ | ====1.2. 설치 공간 확보==== | ||
+ | ===1.2.1. 새 컴퓨터에 Ubuntu 설치=== | ||
+ | 그냥 설치하면 된다. 다만, Linux 특성상 작은 파일의 읽고 쓰기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, | ||
+ | ===1.2.2. 이미 Windows 등이 설치된 환경에 Ubuntu 추가 설치=== | ||
+ | Windows 환경에서 쓰고 있는 디스크 공간 일부를 비워주어야 한다. [[https:// | ||
+ | |||
+ | ====1.3. 부팅 디스크 제작==== | ||
+ | Ventoy를 이용해 부팅 디스크를 제작한다. [[https:// | ||
+ | |||
+ | ====1.4. 백업==== | ||
+ | Ubuntu를 멀티부팅으로 설치할 경우, 설치 중이나 설치 완료 후 사용 중 설정 오류로 인해 Windows 부팅 관련 정보나 Windows에서 작업했던 데이터 영역을 잘못 건드렸을 때 데이터가 복구할 수 없이 손상될 수 있다. 이러면 작업한 데이터가 날아가거나 Windows 부팅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.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백업이다. | ||
+ | |||
+ | ===1.4.1. 데이터 백업=== | ||
+ | 윈도우 환경에서 C 드라이브, | ||
+ | |||
+ | ===1.4.2. Windows 영역 백업=== | ||
+ | Windows가 설치된 C드라이브와 부팅 관련 파일이 들어있는 시스템 파티션 등을 통째로 백업받을 경우, 부팅 관련 설정이 손상되었을 때 원클릭으로 복구할 수 있다. [[https:// | ||
+ | |||
+ | =====2. PC에 설치===== | ||
+ | |||
+ | ====2.1. 언어 선택==== | ||
+ | 한국어가 있기는 하지만, 기본으로 선택되어있을 영어(English)를 추천한다. | ||
+ | |||
+ | ====2.3. 파티션 나누기==== | ||
+ | ' | ||
+ | -' | ||
+ | -디스크 디바이스 선택 | ||
+ | -'새 파티션 테이블' | ||
+ | -파티션 할당하기 | ||
+ | *일반적인 파티션 할당 예시((약 50GB짜리 하드 디스크 기준. 만약 우분투를 실제 컴퓨터(Physical Machine)가 아닌 가상 컴퓨터(Virtual Machine; VM) 내에 설치하고 있다면, VM에 할당한 RAM 크기와 디스크 크기를 고려해 설정하면 된다.)) | ||
+ | |||
+ | ^ 용도/ | ||
+ | | EXT4 | 주 | 약 0.5GB | /boot | 약 100~500MB 사이에서 설정 ((이 파티션이 공간이 부족해져 파일 쓰기가 안될 경우 부팅 과정에 에러가 생겨 부팅 불능이 될 수 있으니 마음 편하게 500MB, 즉 0.5GB 설정하는 것을 추천.)) | | ||
+ | | SWAP | 주 | 약 4GB | /swap ((용도/ | ||
+ | | EXT4 | 논리 | ||
+ | | EXT4 | 주 | 약 35GB | / | 남은 용량 모두 할당 | | ||
+ | |||
+ | ====2.4. 시간대 설정==== | ||
+ | Seoul을 누르고 계속한다. 지도에서 한반도를 찾아 클릭해도 된다. | ||
+ | |||
+ | ====2.5. 사용자 정보 입력==== | ||
+ | 다음 사항들을 잘 입력한다. 기존에 쓰던 Windows 환경과는 1도 관련이 없을 설정값들이니 기존 Windows 설정과 굳이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. | ||
+ | * 원하는 PC이름((나중에 변경 가능)) | ||
+ | * 기본 사용자 계정 이름((나중에 변경 가능하나 귀찮으므로 입력하기 쉬운 적당한 이름을 입력하자)) | ||
+ | * 암호 입력 **필수; 반드시 입력**((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암호가 아주 중요하니 잊지 않도록 주의할 것!)) | ||
+ | * 혼자 사용하는 PC라면 편의를 위해 ' | ||
+ | |||
+ | ====2.6. 설치 진행==== | ||
+ | 인스톨러가 알아서 필요한 파일들을 열심히 복사하고 있을 것이다.\\ | ||
+ | 사양에 따라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,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기고 오자. | ||
+ | |||
+ | ====2.7. 설치 완료==== | ||
+ | 인스톨러에 " | ||
+ | PC가 꺼진 후 부팅되기 전에 설치 디스크를 제거한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3. VirtualBox에 설치===== | ||
+ | VirtualBox 프로그램 설치는 [[activity: | ||
+ | VirtualBox 내에 VM을 생성한 뒤, 그 안에 Ubuntu를 설치하는 것은 [[activity: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4. WSL 설치===== | ||
+ | [[activity: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5. 설치 이후 설정===== | ||
+ |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 다음 설정을 **권장**(필수는 아님)한다. | ||
+ | * **업데이트(중요)** | ||
+ | * 소프트웨어 저장소(apt repository)를 국내 미러('' | ||
+ | * 한글 입력기 설치('' | ||
+ | * '' | ||
+ | * 네트워크 설정(WiFi) 등 | ||
+ | * **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**(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사용 시 필수) | ||
+ | |||
+ | ====5.1. 필수유틸/ | ||
+ | 기초적인 설정들을 한 번에 빠르게 설정하려면 다음 명령을 이용해도 된다: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wget https:// | ||
+ | </ | ||
+ | 이 명령은 다음을 자동으로 수행한다: | ||
+ | * 업데이트 | ||
+ | * 기본적으로 설치되었지만 불필요한(잘 쓰이지 않는) 패키지들 정리 | ||
+ | * 소프트웨어 저장소(apt repository)를 국내 미러('' | ||
+ | * CLI/ | ||
+ | * 폰트(Noto Sans CJK) 설치 | ||
+ | * **한글 입력기('' | ||
+ | * **멀티부팅 화면 설정(설정화면 조작 필요)** | ||
+ | * 부팅 선택메뉴 대기시간, | ||
+ | * 유용한 GNOME extensions 설치 및 활성화 | ||
+ | * VSCode 설치 | ||
+ | * Google Chrome 설치 | ||
+ | * **ROS Melodic 설치** 및 자동 환경설정(.bashrc 파일 설정) | ||
+ | * 아두이노 IDE 설치 | ||
+ | * VirtualBox 설치 | ||
+ | |||
+ | ====5.2.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==== | ||
+ | ===5.2.1 그래픽카드 정보 확인===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ubuntu-drivers devices | ||
+ | </ | ||
+ | ===5.2.2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자동 설치=== | ||
+ | 적당한 버전의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준다. | ||
+ | 특정 드라이버 설치 시 사용하면 안된다.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sudo add-apt-repository ppa: | ||
+ | sudo apt update | ||
+ | sudo ubuntu-drivers autoinstall | ||
+ | sudo reboot | ||
+ | </ | ||
+ | ===5.2.3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수동 설치===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chmod 755 NVIDIA-Linux-버전명 | ||
+ | sudo apt-get remove nvidia* && sudo apt-get autoremove | ||
+ | sudo service gdm stop | ||
+ | sudo service lightdm stop | ||
+ | sudo sh NVIDIA-Linux-버전명.run | ||
+ | </ | ||
+ | ===5.2.4 직접 겪은 오류 해결 방법=== | ||
+ | ==5.2.4.1 부팅 시 검은 화면 오류 해결 방법== | ||
+ | Linux 부팅을 위한 인텔 드라이버 옵션 " | ||
+ | -컴퓨터를 시작할 때 Shift 키를 눌러 Grub 메뉴를 표시한다. | ||
+ | -Ubuntu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e 키를 눌러 linux 항목에 quiet splash 뒤에 nomodeset 추가한다. | ||
+ | -Ctrl + X 를 눌러 시스템을 시작한다. | ||
+ | 이 방법으로 해결되었다면 grub 파일을 열어준다.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sudo gedit / | ||
+ | </ | ||
+ | -GRUB_CMDLINE_LINUX_DEFAULT=" | ||
+ | -GRUB_CMDLINE_LINUX_DEFAULT=" | ||
+ | -grub 업데이트한다.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sudo apt-get update && sudo update-grub | ||
+ | sudo reboot | ||
+ | </ | ||
+ | ==5.2.4.2 nouveau kernel과 충돌 시 오류 해결 방법==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sudo bash -c "echo blacklist nouveau >> / | ||
+ | sudo bash -c "echo options nouveau modeset=0 >> / | ||
+ | </ | ||
+ | ==5.2.4.3 뭔지는 모르겠지만 부팅 오류 해결== | ||
+ |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자동 설치 했을 때 계속된 오류로 수동 설치로 더 낮은 버전을 설치한 뒤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서 루트 쉘 진입한다. | ||
+ | <sxh bash> | ||
+ | mount -n -o remount, rw / | ||
+ | apt-get purge nvidia-* | ||
+ | rm / | ||
+ | reboot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