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activity:public:2020:ros:210210 [2021/02/03 17:05:14] – david | activity:public:2020:ros:210210 [2021/02/11 22:53:02] (현재) – Youtube 링크 추가 david | ||
---|---|---|---|
줄 2: | 줄 2: | ||
2021년 02월 10일 수요일 19:00\\ | 2021년 02월 10일 수요일 19:00\\ | ||
ZOOM 화상회의 | ZOOM 화상회의 | ||
+ | |||
+ | {{youtube> | ||
+ | \\ | ||
+ | 지금까지 살펴봤던 ROS를 활용한 예시 중, 지난 시간까지 다루었던 TurtleBot3을 기반으로 실제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봇을 제작한 사례를 살펴보자.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1. 배달 서비스 로봇===== | ||
+ | |||
+ | {{youtube> | ||
+ | {{youtube> | ||
+ | |||
+ | ====1.1. 하드웨어 구성==== | ||
+ | |||
+ | ^ 하드웨어 ^ 수량 ^ 역할 ^ | ||
+ | | Service Robot (로봇) | **다수** | 서비스 로봇 본체 | | ||
+ | | 제어/ | ||
+ | | E-Menu Tablet (주문용 디바이스; | ||
+ | | Service Core | **단일** | 메인 시스템이 작동하는 서버 |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1.2. 시스템 구성==== | ||
+ | |||
+ | 위 영상에서 소개된 로봇처럼, | ||
+ | 각 파트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된다. | ||
+ | |||
+ | | **E-Menu Tablet** | ||
+ | | ::: |← 주문 가능 상황 / 로봇 상태 | ||
+ | |||
+ | {{https:// | ||
+ | 출처: {{https:// | ||
+ | |||
+ | ====1.3. Service Robot==== | ||
+ | |||
+ | TurtleBot3 기반이므로, | ||
+ | {{https:// | ||
+ | 출처: {{https://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1.4. E-Menu Tablet==== | ||
+ | 로봇 작동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 측 인터페이스로, | ||
+ | ROS는 운영체제와는 관련없이, | ||
+ | 다만 Android 프로그래밍은 이 스터디에서 다루고자 하는 범위 밖이므로 다루지 않는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2. 더 찾아보기===== | ||
+ | |||
+ | TurbleBot3을 기반으로 한 더욱 다양한 활용 예시는 {{https:// | ||
+ | 에서 확인해보자. | ||
=====참고자료/ | =====참고자료/ | ||
+ | * {{https:// | ||
* 표윤석 박사님 ROS 강의(ROBOTIS) \\ {{youtube> | * 표윤석 박사님 ROS 강의(ROBOTIS) \\ {{youtube> |